반응형

미국주식 7

[투자기록] 2023년 4월 2주차 투자 - ABR, 리얼티인컴,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투자금 502,995원)

1. 들어가며 2023년 4월 2주차 투자기록이다. 이번 주에는 미 연준과 투자자들의 관심사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있었다. 월가 예상치(5.2%)를 하회하는 긍정적인 발표(5.0%)가 있었음에도 주가는 하락했다. CPI 발표 직후 모두가 환호하였으나, 시장은 투자자들을 비웃기라도 하듯 장전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며 맥없이 흘러내렸다. 그리고 다음 날, 생산자 물가지수(PPI) 지표에 화답하며 나스닥 기준 2%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역시나 시장은 예측 불가능의 영역이다. 올바른 대응을 자신할 수 없다면 단기적인 경제지표나 시장이슈에 신경 쓸 필요없다. 어설픈 분석과 예측은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정신이 피폐해지는 등 스스로를 병들게 할 뿐이다. 2. 미국 직투 계좌 - 투자금 약 ..

투자 기록 2023.04.15

[투자기록] 2023년 4월 1주차 투자금 1,690,460원 – QQQM, 연금저축, IRP, ISA계좌

※ 갖고 싶은 것도, 사고 싶은 것도 많지만, 그러한 욕망들은 미래의 나를 위하여 기꺼이 유보한다. 1. 들어가며 2023년 4월 1주차 투자기록이다. 매월 첫 주는 언제나 그렇듯 연금저축펀드와 IRP계좌에서 각각 50만원, 25만원 매수를 진행하였고, ISA 계좌에서는 매일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또는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를 매수하였다. 그리고 월급 날에는 미국 직투 계좌에서 적립식 매수 종목인 QQQM 5주를 매수하였다. 이번 주 미국 시장은 조정,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금요일 휴장을 앞두고 소폭 반등하였다. 의미있는 등락은 없었기에 추가적인 예수금 투입은 하지 않았다. 2. 미국 직투 계좌 - 투자금 약 844,415원 일자(한국기준) 종목 매수단가 수량 합계 2023-03-23 QQQM..

투자 기록 2023.04.08

[투자기록] 2023년 3월 4주차 투자금 3,449,662원 – 리얼티인컴,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1. 들어가며 2023년 3월 4주차 투자기록이다. 이번주는 역시나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및 파월의 발언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거기에 재무부 장관 옐런도 거들어 증시가 요동쳤다. 파월은 최근 미국의 일부 금융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0.25% 인상하면서,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를 시작으로 촉발된 중소 지역은행들의 위기설에는 "탄탄한 자본과 유동성을 보유한 우리의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강력하다"며 기자들의 우려를 일축하였다. 당장은 불확실성이 크고, 어지러운 장세이지만 파월의 판단대로 금융위기 없이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나타난다면 증시는 이에 반드시 화답할 것이다. 2. 미국 직투 계좌 – 투자금 약 3,346,772원 일자(한국기준) 종목 매수단가 수량 합계 2023-03-23..

투자 기록 2023.03.25

[투자기록] 2023년 3월 3주차 투자금 3,283,252원 - SCHD, SPLG 및 ISA계좌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1. 들어가며 2023년 3월 3주차 투자기록이다. 지난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에 이어 크레디트스위스은행(CS) 파산 이슈 등으로 금융시장에 대한 불안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주식시장은 미국 정부의 예금보호, 금리인상 중단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예상과 달리 큰 폭의 하락은 없었다. (주중에는 다소 반등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역시나, 주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예측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사실을 절감하는 한 주였다. 다음주에 예정된 미국 기준금리에 따라 아마도 주식시장은 또한번 요동칠 것이다. 하지만 괜찮다. 꾸준한 적립식 매수, 배당금 재투자 및 기다림으로 대응하면 그만이다. 어차피 주식시장은 항상 시끄럽기 마련이고, 언론은 공포를 조장한다. 2. 미국 직투 계좌 – 투자..

투자 기록 2023.03.18

[투자기록] 2023년 3월 2주차 투자금 6,876,040원 - SCHD, SPLG, 리얼티인컴 및 ISA계좌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1. 들어가며 지난 번에 이어 2023년 3월 2주차 투자기록이다. 지난주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슈로 인하여 미국장이 크게 하락하였다. 참고로 실리콘밸리은행(SVB)은 미국 내에서 20권 내에 드는 은행으로, 총자산은 2090억 달러(약 276조5000억원), 총예금은 1754억 달러(약 232조원)에 달한다. 그리고 역시나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뉴스가 나오자 언론에서는 제2의 리먼브라더스 사태의 재현이라며 2008년 차트를 끄집어 내며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미국이 아니 미국 정부가 15년 전에 있었던 끔찍한 사태가 재현되는 것을 그냥 방치할 것 같지는 않다. 설령, 2008년이 재현된다고 하더라도 상관없다. 계속 적립식 매수 및 배당금 재투자로 대응..

투자 기록 2023.03.13

평범한 40대 가장의 미국 주식 투자기 Ⅱ(feat. 시행착오 2)

두 번째 시행착오 - 백화점 포트폴리오 처음 미국 주식을 투자해 본 사람이라면 어느정도 공감할 것이다. 미국시장에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의존하는 글로벌 독과점 기업들이 많기에 그만큼 소유하고 싶은 기업(주식)도 많다는 점을 말이다. 처음에 무슨 종목으로 시작하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유 종목 수가 점점 늘어나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 기인한다. 특히, 피터린치의 책을 접하고, 거기서 일상생활에서 주식을 찾는다는 비교적 간편하고 쉬운 방법을 받아들이는 순간 보유종목 수가 겉잡을 수 없이 늘어나는 마법을 경험하게 된다. 실제로 미국 시장에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넷플릭스, 디즈니, 나이키, 비자, 마스터, 존슨앤존슨, 화이자, 코카콜라, 펩시코, 스타벅스 등 각 산업 분야..

투자 이야기 2023.01.08

평범한 40대 가장의 미국 주식 투자기 Ⅰ(feat. 미국 주식 입문)

1.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 자본주의 사회에서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고, 은퇴 이후에는 우리 모두 자신의 의사와 무관하게 그 동안 축적한 자산을 바탕으로 전업투자자 혹은 자산운용가로 살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일찍 자신만의 투자 방식, 원칙 등을 정립하고 미래를 준비해야만 한다. 2. 첫 번째 시행착오 처음 주식투자를 시작한 것은 2013.경이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투자가 아닌 투기나 도박의 연속이었다. 단기간에 높은 수익을 바라고 잘 알지도 못하는 급등주, 테마주를 매매하였다.(종목명도 잘 기억나지 않는다) 당연히 돈을 잃었고, 당시에 나는 이를 수업료라고 여기며 그러한 상황을 합리화했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이는 결코 ‘수업료’가 아니었다. 나의 성장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였..

투자 이야기 2022.11.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