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주식 7

[투자기록] 2023년 5월 4주차 투자금 4,099,455원 – 리얼티인컴, WPC,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1. 들어가며 2023년 5월 4주차 투자기록이다. 엔비디아 실적발표를 기점으로 나스닥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AI 관려주나 나스닥 지수는 미국 부채 한도 협상, 디폴트 등에 대한 우려는 전혀 게의치 않는 모습이다. 반면 가치주, 배당주, 리츠 등은 여전히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이런 때일수록 포트 내에서 나스닥이 이끄는 지수 상승은 즐기면서 뒤에서 조용히 배당주 수량을 늘려가는 투자방향을 이어나갈 것이다. 2. 미국 직투 계좌 – 투자금 약 400만원 일자(한국기준) 종목 매수단가 수량 합계 2023-05-25 리얼티인컴 $59.1 16 $945.6 2023-05-26 리얼티인컴 $58.42 24 $1,402.08 WPC $67.35 11 $740.85 합 계 $3,088.53 (원화 약 4,07..

투자 기록 2023.05.28

[투자기록] 2023년 5월 3주차 투자 6,769,530원 – SCHD, WPC,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1. 들어가며 2023년 5월 3주차 투자기록이다. 이번 주 미국 시장은 나스닥의 반등이 두드려졌다. 기술주가 시장을 이끌다보니 상대적으로 가치주, 배당주, 리츠 등은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지난 주에는 경기침체, 미국 부채 한도 이슈 등으로 분위기가 좋지 않았는데, 더 이상 시장 참여자들은 부채 한도 합의가 결렬될 것이라는 염려는 하지 않는 모습이다. 사실 하락, 조정의 이유가 필요했던 것일뿐 미중 갈등, 달러패권에 대한 도전이 심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미국의 디폴트를 걱정한 사람은 애초부터 없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2. 미국 직투 계좌 – 투자금 약 670만원 일자(한국기준) 종목 매수단가 수량 합계 2023-05-17 SCHD $69.19 22 $1,522.18 2023-05-17 WPC $69.4..

투자 기록 2023.05.21

[투자기록] 2023년 5월 2주차 투자금 606,960원(ISA 계좌)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1. 들어가며 2023년 5월의 2주차 투자기록이다. 이번주에는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있었다. 월가 예상치(5.0%)를 하회하는 긍정적인 발표(4.9%)가 있었으나, 연준의 목표에 이르려면 아직도 갈길이 멀어 보인다. 당연히 앞으로의 금리도 예측할 수 없다. 최근 SCHD가 $70 이하로 하락하는 등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장기적으로 수량을 늘리기에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2. ISA 계좌 (매일 1~3주 매수 첼린지) - 투자금 606,960원 (1)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최근 SCHD의 주가가 저조한데다가 환율도 1320~1340원 구간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기에 환노출 상품인 SOL미국배당다우존스는 매수하지 않았다. 당분간은 지속적으로 환헤지 상품을 매..

투자 기록 2023.05.14

2023년 5월 1주차 투자금 4,114,920원 - SCHD, SPLG, 연금저축, IRP,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1. 들어가며 2023년 5월 1주차 투자기록이다. 한국 시간으로 5/4 새벽경 미국 기준금리는 25bp 상승하였다.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하였으나, 주가는 하락하였고(금요일 장에서는 회복하는 모습) 기준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환율 또한 하락하였다. 최근 비슷한 양상이 계속되고 있다. 연준은 금년 내에 금리인하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금리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연준도 믿을 수 없다. 코로나로 인한 제로금리 시절에 2023년까지 금리인상은 없을 것이라던 연준이었다(아래 뉴스 참조). 상황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에 예측은 무의미하다. 미국과의 금리차가 1.75%로 벌어진 가운데 과연 한국은행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

투자 기록 2023.05.06

[투자기록] 2023년 4월 4주차 투자(ISA 계좌)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1. 들어가며 2023년 4월의 마지막주 투자기록이다. 빅테크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과 미국 GDP가 예상치를 하회 함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감 등으로 증시는 반등하였다. 달러화 인덱스 하락에도 불구하고 환율은 여전히 1,330~1,340원대에 머물러 있기에 평가자산이 늘어나기는 하였지만, 환전은 다소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당분간은 기존 적립식 투자(월급날 매수 및 배당금 재투자) 및 국내 연금저축, IRP, ISA 투자는 계속 진행하되, 환율이 현 수준을 유지 또는 추가로 상승한다는 가정 하에 보유 중인 예수금으로는 미국 직투가 아닌 국내 환헤지 상품을 매수할지 여부를 진지하게 고민 중이다. 2. 미국 직투 계좌 이번주 역시 추가적인 예수금은 투입하지 않았다. 주가는 반등하였고, 환율도 높기에 굳이 매수할..

투자 기록 2023.04.30

[미국 주식] 적립식 투자가 어려운 이유

많은 사람들이 장기투자를 지향하며 매월 적립식 매수를 결심한다. 자신 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비중에 따라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식으로 매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많은 투자자들이 주로 SPY, QQQ와 같은 지수추종 ETF나 SCHD 등과 같은 배당성장 ETF 위주로 포트를 구성한다. 장기적 우상향이 역사적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매월 적립식 매수는 이론적으로 매우 간단하고 쉬우면서도 성공확률이 높은 투자방법이다. 그러나, 이를 장기적으로 꾸준히 이어가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보기에는 간단해 보여도 원칙을 지키며 장기적으로 지속하는 것이 사실은 굉장히 어렵기 때문이다. 1. 평단가 이상에서 매수하면 손해라는 생각이 뇌를 지배한다. - 적립식 매수 원칙을 방해하는 가장 큰 심리적인 요인이라 생각한다...

투자 이야기 2023.04.26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평범한 40대 가장)

나는 사랑하는 아내와 아들을 두고 있는 평범한 40대(초반) 가장이다. 전문직도 대기업 직원도 아니다. 정년과 노후가 보장된 공무원은 더더욱 아니다. 부양가족이 있다보니 이제와서 새로운 도전을 위한 결심도 여의치 않다. 아니, 사실 그럴 능력이나 자신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 맞겠다. 그런 내가 오늘날과 같은 '100세 시대'에 나와 내 가족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하루라도 빨리, "매월 가처분 소득의 일정비율을 투자하여 노후자금을 마련하고, 자본가가 되는 것" 이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최근에는 너무 진부한 말이 되었지만, 나는 이 단순하고 명백한 해답을 30대 후반에서야 깨닫게 되었다. (50대가 되서 깨닫지 않은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혹시라도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있다면 ..

투자 이야기 2022.09.25
반응형